본문 바로가기

납품내역

회원메뉴

상품 검색

장바구니0

    Q&A 게시판

Q&A 묻고답하기

[re] 보온재 품질확인 점검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?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 작성자 영업팀 이름으로 검색   [121.♡.139.30]

본문

>보온재 품질확인 점검표
>관련해서 어떤 것이 있습니까?
>현장인데 검측 체크리스트에 위의 내용이 있습니다...
>자료 좀 보내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...


현장 여건과 단열재 종류에 따라 달라질수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를 고려하여
현장 check list를 작성한다면

  1) 열 전도율에 의한 제품 선정 및 시공보다는 열관류율을 감안하여  시공
    -.단순 열 전도율에 의해  단열재를 선정하기보다는 벽구조체의두께 및
      열 저항값을 산출하고  그 부분의 관류율로  제품 종류및 두께를 선정
      해야 정확한  단열을 할수 있습니다     

  2) 단열재의 연결 부위가 겹치든지 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가
    -.단열재를 아무리 두껍게 사용한다 하더라도  틈이 있으면 열손실이
        많기 때문에  틈- 우레탄 폼 사춤,  상호 5cm겹치기 시공. 알루미늄
        테이프 처리등의 방법으로 고정
    -.옛날 속담에 " 바늘구멍에서 황소 바람 들어옴다"는 격언 참조하시길

  3) 창틀주위의  단열 시공에 만전을 기하고 있는가
    -.일반적으로 창틀 주위로 부터의 열손실이 전체의 20~30% 임으로
        창틀 설치전  스치로폼, 아이소핑크의 경우  우레탄 폼으로 채워주고
        그라스울등은 제품이 처지지 않도록  테이프로 처리합니다
        (열손실  : 지붕 = 15%. 창틀=30%.외벽=30%. 바닥=15%.환기=10%)
    -.온도리,단열이등 열반사 단열재의 경우 창틀 밑까지 "ㄱ"자로 구부려서
        시공합니다

  4) 단열재를 고정하여 내구성 있개 견딜수 있도록 고정을 하였는가
      -.그라스울 ,암면 등을 고정핀에 의해서  벽면에 고정하여 시공하고있으나
        건물의 진동에 의해서 또는 처짐에의해서. 또 보온핀의 접착재가 떨어
        짐으로서  단열재 역활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
      -.보온핀 벽면 부착시  스티카식보다는  칼라코크등  접착본드로 고정핀
        을 부착하는편이 튼튼합니다

  5) 단열재 사용 기준에 충실하는가
      -. 단열재에는 "가"등급 - 아이소핑크. 우레탄,GW32K이상밀도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"나"등급-스치로폴,미네랄울,GW24K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"다"등급-스치로폴4호등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"라"등급- 기타      등 4종류가 있고
        각 제품별로 비중에따라 1호,2호,3호,4호등으로 구분이되며  이러한
        등급과 호수별로  단열성능과 가격이 달라짐으로  설계도면을 참조하여
        관리하시면 됩니다
      -.지역별로 단열재 두께가 정해져있는점도참조하세요
        예를 들어 서울등 중부지역  측벽의 경우 아이소핑크로 65T 일 경우
        스치로폴은 최소 75T를 사용해야 합니다
        참고로  압축법스치로폼 = 가등급스치로폼 ===>아이소핑크를 의미하며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비드법스치로폼 = 나등급스치로폼 ===>스치로폴  의미합니다

    6)또하나의 선정조건은 화재 안전성과  흡음과 습기에 대한 고려입니다
      -.스치로폼등  유기 단열재가 화재시 가스 발생 우려
      -.흡음단열재에 데한 고려
      -.습기가 단열재와 만나며 급속히 단열성능이 떨어짐니다
        듀퐁의 tyvec등은 단열재를 보호하는 단열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

    7)단열이 부실하면 발생되는  현상은
      -. 난방비 손실  년간 얼마 인가요
      -.단열부실===>웃풍 과 결로 ===> 습윤 , 곰팡이 부식===> 건강 우려등
        또 건물 수명의 단축 이 예상됩니다
      -. 단열재를 좋은제품으로 잘 사용하면 반드시 사용금액이상으로보답을
          합니다 

  8)그외 여러가지사항이 있을수있으나  한번 사용한  내부 단열재는  뜯어
      낼수도 없기 때문에  틑튼히,좋은제품을 사용해야합니다
     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1-118호의 단열재의 두께 기준과  단열재등급분류
      에 따라  최소 그 이상 두께와 제품을 반드시 사용하십시요

    너무 복잡하고 다양하네요 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 
    감사합니다 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
추천3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상단으로
상단으로